안녕하세요! 두부라이프입니다.
이제 곧 민족 대명절인
추석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누는
즐거운 시간이기도 하지만,
갑작스러운 건강 이상 신호가
찾아올 수가 있어요.
특히 대부분의 병원과 약국이
문을 닫는 연휴 기간에는
작은 증상도 큰 걱정으로
다가오기 마련이에요.
그러므로 갑작스러운 응급 상황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과 함께
미리 준비해야 할 필수 상비약 리스트를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더군다나 이번 연휴는
10월 3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10월 9일 한글날까지 빨간날이에요.
게다가 10일인 금요일을 제외하더라도
바로 주말이 찾아오기 때문에
12일까지 포함하면
거의 10일 가량이 휴일이나
다름없는데요.
이렇게나 장기간 동안
건강에 대해 걱정 없이
즐거운 추석 연휴를 보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명절 연휴에는 평소와 다른 환경과 생활 패턴으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아요.
* 성묘·벌초 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 *
가을철 야외 활동 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바로 진드기예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은
진드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대표적인 질병이랍니다.
예방 수칙
① 성묘를 갈 때는
긴소매, 긴바지, 양말, 장화 등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주세요. |
②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
③ 풀밭에 직접 앉거나 옷을 벗어두는 행동은 되도록 피해주세요.
|
④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잘 털어 세탁하고,
바로 샤워하는 것이 안전하답니다. |
의심 증상
· 성묘 후 1~3주 내에
두통, 고열, 오한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 |
· 벌레 물린 상처가 보일 경우
|
▶ 즉시 병원을 방문해주세요!!!
|
*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및 식중독 *
기름지고 푸짐한 명절 음식은
과식이나 급체,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예방 수칙
① 명절 음식을 공동으로 섭취할 땐,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주세요.
|
② 안전한 물과 식재료를 사용해 주세요.
|
③ 남은 음식은 반드시 냉장 보관해주세요.
|
④ 다시 섭취할 때는 충분히 재가열하는 것이 중요해요.
|

연휴 기간 문 연 약국을 찾아 헤매지 않으려면,
미리 상비약을 구비해두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에요.
아래 목록을 꼭 확인하고 우리 집 구급상자를 점검해 보세요.
약 종류
|
인기 많은 제품
|
증상
|
|
소화제
|
훼스탈, 까스활명수큐, 베나치오
|
과식, 소화불량, 더부룩함
|
|
해열제
|
타이레놀
|
발열
|
|
진통제
|
게보린, 펜잘
|
두통, 근육통
|
|
지사제
|
스멕타, 정로환
|
설사
|
|
종합감기약
|
판피린, 테라플루,
타이레놀 콜드, 우루사 콜드 |
다양한 감기 증상
|
|
파스
|
신신파스, 제일파스
|
근육통, 타박상
|
|
연고
|
마데카솔(상처용),
후시딘(살균용) |
상처
|
|
멀미약
|
명콤정, 키미테
|
멀미 증상
|
|
화상 연고
|
후시딘, 베아로반, 마데카솔
|
가벼운 화상 및 경미한 상처
|
|
진드기 기피제
|
무스킬, 오프
|
야외 활동 시 진드기 예방
|
|
개인 복용 약
|
-
|
본인이 평소 복용하는 처방약
|
소화제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이나
속이 더부룩할 때 드셔주세요.
해열·진통제
갑작스러운 발열 및
두통, 근육통 등이 있을 때
복용하세요.
지사제
흔히 설사약이라고 부르는데요.
환경 변화나 낯선 음식으로 인한
설사에 대비할 수 있어요.
(단, 감염성 설사에는 사용을 주의해 주세요.)
종합감기약
가을철 큰 일교차로 인한
감기 기운에 대비할 수 있어요.
(단, 운전 중에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파스 및 연고
벌초나 장거리 운전 후
근육통, 가벼운 상처나
타박상에 유용해요.
멀미약
장거리 이동 시 차멀미가 심하다면
출발 전에 미리 복용하는 것이 좋아요.
(단, 운전자는 복용을 피해주세요.)
화상 연고
명절 음식을 조리하다 가볍게 데었을 때
응급처치용으로 사용이 가능해요.
진드기 기피제
성묘나 캠핑 등
야외 활동 계획이 있다면
꼭 지참해주세요.
개인 복용 약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으로 평소 복용하는 약은
반드시 잊지 말고 챙겨 주세요.

"갑자기 아이가 열이 나요!"
"부모님 혈압이 이상해요!"
추석 연휴 중 가장 막막한 순간,
당황하지 말고 아래 방법으로
신속하게 문 연 병원과 약국을 찾아보세요.
* 전화로 물어보기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에요.
응급상황 시 병원 안내, 응급처치 지도,
약국 안내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129 (보건복지콜센터)
연휴 기간 진료 가능한 병원과 약국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어요.
* 인터넷 및 스마트폰 앱 활용하기
응급의료포털 ( http://www.e-gen.or.kr )
PC나 모바일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변에 문 연 병원과 약국을
지도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응급의료정보제공' 앱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해두면
위급 상황 시 내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응급실, 병원, 약국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요.
시·군·구청 홈페이지 확인
각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서는
연휴 기간 비상 진료를 하는
의료기관 및 약국 명단을 공지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거주 지역의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평상시에도 밤이나 주말이 찾아오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질병으로 인해
순간 당황하게 되는데요.
즐거워야 할 명절 기간이
자칫 악몽이 되지 않도록,
사전에 철저히 준비하고 대비하면
더욱 좋지 않을까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상비약 준비와 비상 연락망 숙지로,
온 가족이 함께 건강하고 행복한
추석 연휴 보내시길 바랄게요.